연구자의 행정부담,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요?

Home뉴스와 동향학술연구 동향

curated by Librarian, KayKim
 

연구자의 행정부담 얼마나 되며 어느 분야에서 가장 부담을 느끼고 있을까? DGIST의 경우 신생기관으로서 연구 외에도 각종 행사와 위원회 등 연구자들이 연구에 몰입할 수 없게하는 요소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함께 찾아보고 대화하고 해결해봅시다.

[NEWS]  대학연구자도 '행정업무' 속앓이··· by 헬로디디 박은희 기자

-KISTEP, '대학 연구자의 행정부담 측정과 정책적 시사점' 정책 제언 발간
-연구자 10명 중 7명 행정업무 담당 경험···"창의적 연구 위한 환경 조성 돼야" 

국내 연구자들이 행정업무에 시달려 연구몰입이 어려운 상태로 행정 부담을 줄일 전문 과학기술 지원 인력 확대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대학 연구자는 논문 양산으로만 평가받는 경우가 많아 중장기적인 연구 여건이 미흡해 창의적 결과물을 내기보다 생계형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017.01.18

Curator Comment

'KISTEP이 발간한 이슈 페이퍼'를 소개한 헬로디디의 기사입니다.

[보고서] 대학 연구자의 행정부담 측정과 정책적 시사점 by KISTEP 이슈페이퍼 - KISTEP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제목 : 대학 연구자의 행정부담 측정과 정책적 시사점(KISTEP ISSUE PAPER 2016-14)
-저자 : 김이경(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김소라(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윤이경(이화여자대학교)


[주요내용]
 
■ '선도형 과학기술 패러다임'으로 전환이 중시되며 '과학자의 창의성'과 '창의성 증진 위한 자율적 연구 환경조성'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
- 정부는 다양한 R&D 규제개혁 노력을 가시화하고 있으나 연구현장에서 규제개혁 체감도는 낮은 현황

■ 대학연구자의 경우에는 가장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해야 할 조직이지만 과제수주나 보고서 제출에만 치중할 수밖에 없는 환경임
- 대학연구자는 논문양산으로만 평가받는 경우가 많고 중장기적인 연구 여건이 미흡하여 창의적 결과물을 내기보다 생계형 연구를 진행한다는 지적이 많음

■ 국가 R&D 사업에 대한 연구현장 불만, 지속적 정부관심에도 불구하고 연구자의 행정 부담을 실질적으로 측정하고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는 적었음
- 정부 지원정책 프로그램의 성격은 지원과 규제적 속성이 혼재하며, 규제적 속성이 유발되는 메커니즘과 수혜집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미비

■ 본 이슈페이퍼는 국가 R&D 사업에 참여하는 대학 연구현장의 행정비용 측정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결과는 향후 행정부담 완화를 위한 보완책 마련 시 활용가능

[NEWS] 대학교수 등 연구책임자 행정 부담 덜어준다

국가연구개발사업 개정안 입법예고…기관이 인건비 관리·보고서 간소화 :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대학교수 등 연구책임자 대신 연구기관이 학생인건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연구개발 보고서 서식이 간소화되는 등 연구자의 행정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정책이 개선된다.

[NEWS] 내년부터 R&D 과제 '중간평가' 없앤다...연구자 행정부담 완화

산업통상자원부는 내년부터 연구개발(R&D) 제도에서 중간평가인 연차평가와 연차협약을 폐지해 연구 자율성을 보장한다고 1일 밝혔다. 또한 빅데이터

미국, 연구자의 행정업무량 감소를 위한 TF 결과 발표(Excessive regulations turning scientists into bureaucrats)[S&T GPS]미국, 연구자의 행정업무량 감소를 위한 TF 결과 발표

* 불법, 상업/광고, 욕설 등의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