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Exhibition] Speech 展 : 2024. 4. 18. ~ 6. 16.

curated by 박민선
원예찬 개인전 'Speech' 展은 학술정보관(E8) 1층 갤러리에서 2024년 4월 18일(목)부터 6월 16일(일)까지 진행됩니다. 미술과 기술을 접목한 뉴미디어 전시를 통해 이공계 기술과 인문학적 정서를 함께 감상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We invite you to join us for an opportunity to appreciate the fusion of art and technology through a new media exhibition. Your interest and attendance would be greatly appreciated.

 
원예찬 <멸종한 생명체를 대하는 자세>
멸종한 생명체나 문명 따위를 박제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다. 유년기 과학실에서 포르말린 병 속에 담긴 각종 동물 표본을 바라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었다. 작게는 곤충부터 큰 포유류까지 다양한 표본이 과학실 진열장에 전시되어 있었다. 그런 표본들을 바라보면 묘한 측은지심이 들었다. 인간은 고고학적 자료, 역사적 유물 까지 수집 및 보존한다. 심지어 인간이 파괴하고 멸망시킨 문명 또는 멸종시킨 생물까지 진열한다. 이러한 인간의 습성은 고대 문명부터 현재 까지 늘 인간의 문명을 따라오며 존재했다. 인간은 발전하기도, 스스로를 갉아먹기도 한다. 인간은 유연한 언어와 압도적으로 우월한 지능을 통해 지구 생태계의 정점에 오르게 됐다. 정점에 선 인간은 기술을 발전 시키고 현대 문명을 이룩했다. 하지만 이전보다 지구는 뜨거워졌고 우리의 터전은 오염되고 병들었다. 끝난 줄 알았던 냉전은 새로운 모습으로 답습 되어 불안감이 가속되고 있다. 또한 인간은 자신보다 뛰어난 창조물을 만들고 있다. 우리는 그 창조물 에게 인간의 육체적 분야부터 인지적 분야 까지 자리를 내어주고 있다. 스스로 정점에서 내려오려는 셈이다. 나는 인간 다음의 자연 선택의 승리자가 우리가 그러했던 것처럼 멸종한 인간의 흔적을 박제하는 것에 대해 구상했다. 영원한 것은 없다. 우리의 존속 또한 그러할 것이다. 우리가 아주 당연하게 생각하는 진리인 인본주의는 인간 사회에 자리 잡은 지 불과 몇 백 년 밖에 되지 않았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여러 나라에 노예 제도가 있었다. 그리고 그 전에는 왕이 나라를 통치하는 군주제도 그리고 태어난 대로 신분이 갈리는 불공평한 신분제도가 당연하게 받아들여졌다. 지금은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 그 당시에는 아무도 의심하지 않는 진리였다. 즉 세상은 어떻게 바뀔지 아무도 모른다. 결국 현재의 위기상황을 극복하지 못한 우리의 존속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Won Ye Chan <Attitude towards extinct organisms
Extinct organisms or civilizations being preserved is inherent to human nature. It was fascinating to gaze upon various animal specimens preserved in formaldehyde jars in the science lab during my childhood. From insects to large mammals, a variety of specimens were displayed on the lab shelves. Viewing such specimens evoked a strange sense of curiosity. Humans collect and preserve archaeological data and historical artifacts, even displaying civilizations destroyed and creatures extinct due to human actions. This trait of humans has existed alongside civilization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Humans evolve and also consume themselves. Through flexible language and overwhelmingly superior intelligence, humans have reached the pinnacle of the Earth's ecosystem. Standing at this apex, humans have advanced technology and achieved modern civilization. However, the Earth has become hotter than before, and our habitat has become polluted and diseased. The Cold War, once thought to be over, is resurfacing in a new form, accelerating feelings of anxiety. Furthermore, humans are creating beings superior to themselves. We are making room for these creations in both the physical and cognitive realms, as if voluntarily descending from the pinnacle. I contemplated preserving the traces of extinct humans, the supposed next victors of natural selection, just as we have done with other extinct species. Nothing is eternal. Our existence will be no exception. Anthropocentrism, a truth we once took for granted, has only been established in human society for a few hundred years. Until recently, slavery existed in many countries, and before that, monarchy ruled nations, and an unfair caste system divided people from birth. What is incomprehensible to us now was unquestionable truth back then. In other words, no one knows how the world will change. Ultimately, I want to discuss our current existential crisis, which we have yet to overcome.

멸종한 생명체를 대하는 자세: Speech
13x13x27cm, 2022
specimen jar, non-electrolyte liquid, speaker, MCU board, Customized Sof tware and Hardware, sound-play
작품 <Speech>는 12개의 유명 연설문이 음성으로 재생되는 장치를 박제하였다. 1935년 아돌프 히틀러의 쿠르프 공장 위문 연설부터 2018년 여배우 엠마 왓슨의 UN양성평등 연설, 그리고 같은 해 방탄소년단의 UN연설 등 정치사회 및 문화예술적으로 중요한 연설들을 박제하여 재생한다. 일정 주기 동안 6개의 연설이 동시에 먼저 재생되고 교대로 나머지 6개 연설이 동시 재생됨으로써 현생인류의 아우성을 재현한다. 연설주제는 전쟁선언, 평화회복, 인권향상, 양성평등, 기술낙관 등 현생 인류의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모습을 담은 내용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긍정주제들이 현생인류의 부정성 극복이란 점에서, 사실상 연설주제는 인류의 어두운 그림자를 직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여기서 원 작가는 미래인류가 현생인류의 암울한 국면을 살펴 보는 입장을 취하는 것이다. 이것이 그가 멸종된 인류를 대하는 자세 중 하나인 것이다. 
<Speech> has preserved a device that plays 12 famous speeches in audio. It encompasses speeches ranging from Adolf Hitler's 1935 speech at the Krupp factory to actress Emma Watson's UN gender equality speech in 2018, including BTS's UN speech from the same year, among other politically, socially, and artistically significant speeches. During certain intervals, 6 speeches are played simultaneously, alternating with the remaining 6 speeches, thus reproducing the collective voice of contemporary humanity. The speech topics cover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contemporary humanity, such as declarations of war, peace restoration, human rights improvement, gender equality, and technological optimism. However, since most of the positive topics aim to overcome the negatives of contemporary humanity, in essence, the speech topics directly or indirectly reveal the dark side of humanity. The original author takes a stance where future humanity examines the grim aspects of contemporary humanity. This reflects one of the attitudes towards extinct humanity.
- 이준 뉴미디어 예술가의 평론 중 발췌 Excerpt from a critique

멸종한 생명체를 대하는 자세: emoji
30x19x15cm, 2022
MCU board, TFT LCD, specimen jar, C ustomized Software and Hardware 
작품 <emoji>는 현생인류들이 사용하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8개 이모지들을 모은 감정 표본집이다. 곤충표본 같은 나무틀 속에 3디 프린팅으로 제작한 이모지 아이콘과 그것을 소형 LCD 디스플레이에 디지털 도트 형태로 표현하는 전자장치를 넣었다. 미래인류가 주목한 현생인류의 감정은, 그 감정의 실체가 아닌, 실체는 이미 휘발 되어 사라지고 결국은 소셜 미디어에 데이터로만 남은 각종 이모지 아이콘인 것이다. 귀엽게 표본된 이모지들을 보며 관객은 순간 유쾌할 수 있으나, 타인의 페이스북 글 밑에 데이터로 축적된 이모지처럼 건조하게 박제된 감정 아이콘들로 인해 묘한 자기 연민에 빠져든다. 
<emoji> is a collection of eight emojis gathered from a social networking service once used by contemporary humans. These emojis are housed within wooden frames resembling insect specimens, with emoji icons created using 3D printing and digital dot-form electronic devices displaying them on small LCD displays. The emotions of contemporary humans, observed by future humanity, exist not in their essence but as various emoji icons, already evaporated and ultimately preserved only as data on social media. While viewers may momentarily delight in the cute, sampled emojis, they are drawn into a peculiar self-absorption by the dry, preserved emotion icons, akin to the emojis accumulated as data beneath others' Facebook posts.
- 이준 뉴미디어 예술가의 평론 중 발췌 Excerpt from a critique
멸종한 생명체를 대하는 자세: Joke manufacturing machine
25x16x20cm, 2022
MCU board, TFT LCD, wood, acrylic dome, Customized Software and Hardware
작품 <Joke manufacturing machine>은 다양한 유희문답을 표출하는 유희적 오브제이다. 저장된 다양한 우스개 문답 이 소형 LCD에 표출되면서 인간으로 하여금 언어유희를 즐기게 하는 장치다. 예를 들어, “What do sea monsters eat? Fish and Ships.”와 같은 문답이 표시된다. 나는 이 작품에서 “미래인류의 인공지능은 현생인류처럼 언어유희를 즐길 수 있는 의지 와 감수성을 가지고 있는가?”와 “놀이하는 인간(homo ludens)으로서 현생인류가 멸 종된 먼 미래에 이러한 언어유희는 미래인류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게 된다. 미래인류의 박물관(?)에 박제되어 유물로 남겨진 퐁 게임과 언어유희. 이런 현생인류의 유희는 너무나 단순해서 고도로 진화된 미래인류에게는 유희적 대상이 되지 못할 수도 있다. 어쩌면 미래인류는 감정이 제거되어 유희 개념이 없어 이를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나는 이 두 작품에서 유희적 대상이 더 이상 유희를 산출 하지 못하는 ‘웃픈’ 미래 상황을 바라본다. 이것은 현생인류인 우리가 느끼는 우리 미래에 대한 또 다른 유희적 비애에 해당하며, 이러한 다양한 유희적 파토스가 현생인류인 우리가 미래에 멸종된 우리 자신을 대하는 ‘자세’이지 않을까? 
The artwork is a playful objet d'art that displays various jesting questions and answers. This whimsical device, featuring a variety of stored jesting Q&A displayed on small LCD screens, aims to entertain humans with linguistic playfulness. For example, questions like "What do sea monsters eat? Fish and Ships." are displayed. This prompts questions such as, "Doe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f future humanity possess the will and sensibility to enjoy linguistic playfulness like contemporary humans?" and "As contemporary humanity, playing beings (homo ludens), become extinct in the distant future, what significance does such linguistic playfulness hold for future humanity?" The preserved relics of contemporary humanity in the museum(?) of future humanity include Pong games and linguistic playfulness. Such playfulness of contemporary humanity might be too simplistic to be an object of playfulness for highly evolved future humanity. Perhaps future humanity, devoid of emotions and lacking the concept of playfulness, may not understand it. Through these two artworks, I contemplate a 'humorous' future situation where the objects of playfulness can no longer produce playfulness. This reflects another playful tragedy regarding our future that we, contemporary humanity, perceive, and perhaps such diverse playful pathos may be the 'attitude' with which we, contemporary humanity, face our extinct selves in the future.
- 이준 뉴미디어 예술가의 평론 중 발췌 Excerpt from a critique

안전을 위해 노란선 밖에서 조심히 감상해주세요🙏
Please enjoy the artwork carefully from outside the yellow line.🙏
※ 본 큐레이션의 디지털 이미지 무단 복제는 절대 불가합니다.
 ※ Unauthorized reproduction of digital images from this curation is strictly prohib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