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Nobel Prize 파헤치기 3편 - Chemistry

2023 노벨 화학상은 quantum dot을 발견하고 생산법을 개발한 문지 바웬디, 루이스 브루스, 알렉세이 예키모프가 수상하였습니다. 2023 노벨 화학상을 받은 과학자들에 대해 같이 알아볼까요? [Curated by 일일 큐레이터 최미연]
2023 노벨 화학상
“For the discovery and synthesis of quantum dots“
Announcement of the 2023 Nobel Prize in Chemistry
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awarded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23 to Moungi Bawendi, Louis Brus and Alexey Yekimov “for the discovery and synth...
바로가기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양자점 상용화...끝없는 질문에 답 찾는 과정
2023년 노벨 화학상은 ‘물질의 크기를 수 나노미터 수준으로 줄일 때, 그 물질의 특성은 우리 눈에 보이는 큰 물질과 어떻게 다를까?’란 질문에 천착한 세 명의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출처: 박종남, 김소연. (2023년 10월 16일).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양자점 상용화...끝없는 질문에 답 찾는 과정. 동아사이스스.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2005
바로가기
Discovery and synthesis of Quantum Dots 
1. What is quantum dot?
양자점은 2~10 nm 정도 크기의 반도체 결정이다. 반도체 소재는 연속적인 에너지 준위의 띠 형태의 에너지 레벨을 가진다. 반면, 양자점은 결정의 크기에 따라서 valence band와 conduction band로 에너지 준위가 불연속화되며 quantum confinement effect를 보이는 광전자 소재이다. 양자점 크기가 작아질 수록 양자 구속 효과가 강하게 작용하여 양자점의 band gap이 커지고, 단 파장의 색상을 발출하게 된다. 이로 인해 특정 파장의 색상을 지니는 양자점을 얻을 수 있다.

*사진 출처: © Johan Jarnestad/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2. Discovery of quantum dot
 브루스는 처음 태양 에너지를 사용하여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장기적인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빛을 포착한 다음 그 에너지를 활용하여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황화 카드뮴 입자를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입자의 표면적을 늘리기 위해 재료를 아주 작게 자른 결과 광학적 특성이 변함을 관찰했다. 브루스는 직경이 4.5 nm인 황화 카드뮴 입자와 12.5 nm인 입자를 비교했다. 그 결과, 큰 입자는 일반적으로 황화 카드뮴과 동일한 파장의 빛을 흡수하지만 작은 입자는 흡수 영역대가 파란색으로 이동했다. 이 또한, 크기에 따른 양자 효과이며 브루스는 다른 물질을 대상으로 더 조사한 결과, 입자가 작을수록 흡수하는 빛이 더 파랗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예키모프는 원래 재료에 빛을 비춰 흡광도를 측정하는 일을 했다. 예키모프는 처음 단일 물질인 유리를 조작하면 다른 색상을 띠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 결과, 유리의 색은 입자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크기에 따른 양자 효과를 관측했다.  

*사진 출처: © Johan Jarnestad/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3. Revolution of the production of quantum dots
바웬디는 지속적으로 나노 입자를 생성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고, 노벨상 수상 여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먼저, nanocrystal을 형성할 물질을 가열하고, 용액을 정확하게 포화시키는 데 필요한 물질 만큼만 주입했다. 그 후 온도를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균일한 표면 제작에 성공했다. 

*사진 출처: © Johan Jarnestad/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Moungi Bawendi – MIT Department of Chemistry
*클릭 시 소속기관 홈페이지 프로필로 이동
프로필 바로가기
First reactions | Moungi Bawendi, Nobel Prize in Chemistry 2023 | Telephone interview
"I'm supposed to teach at 9 this morning," 

- 문지 G. 바웬디 교수는 자신이 상을 받을 거라고 생각하지 못했으며, 수상 소식을 들은 후 매우 놀랐고, 졸렸으며, 영광스러웠다고 답했다. 이 날 수상 자료가 유출되었지만 잠을 자고 있어 몰랐다고도 말했다. 
- 노벨상을 공동 수상한 브루스에 대해 놀라운 멘토이자 진정한 학자라고 첨언했다. 
- Quantum dot 연구에 관련해서는 1990년대 중반에 응용 가능성을 깨달았으나, 오늘과 같은 성과가 나올 지 몰랐다며 겸손을 보였다. 
바로가기
Moungi Bawendi's Most cited research Top 3
* 하단의 바로가기 버튼 클릭 시 해당 논문으로 이동합니다.

Profile of Louis Brus
*클릭 시 소속기관 홈페이지 프로필로 이동
프로필 바로가기
First reactions | Louis Brus, Nobel Prize in Chemistry 2023 | Telephone interview
"This is a collaborative effort,"

- 루이스 E. 브루스 교수는 잠을 자야해서 전화를 받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역시 수상자 유출에 대해서는 몰랐다고 소감을 밝혔다. 
- 양자점 기술이 대중에게 인정받게 되어 기쁘며, 연구를 처음 시작했을 때 부터 양자점 연구가 평면 TV 색상을 만드는 데 활용되는 등 실생활에 응용되길 희망했다고 말했다. 
- 기초과학 연구는 연구 대상 물질과 지식 기반이 중요하다고도 말했다. 
바로가기
Louis E. Brus's Most cited research Top 3

Alexey Yekimov 's Most cited research Top 3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23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23 was awarded to Moungi G. Bawendi, Louis E. Brus and Aleksey Yekimov "for the discovery and synthesis of quantum dots"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