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Herstory!!! 여성 과학자 이야기

Home뉴스와 동향과학기술 동향

curated by DGIST LIBRARY
 

3월 8일은 세계여성의 날입니다. 여기 과학하는 여성들이 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에서부터 우리 주변의 친근한 교수님들까지 :) 그들은 여성이고, 엄마이고, 과학자이고 공학자입니다. 여성으로서 과학한다는 것, 어떤까요? 많이 나아졌다고는 해도 GE의 보고서를 보니 여전히 참담합니다. DGIST가 여성 과학/공학자들이 연구하기 좋은 곳,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노벨상 수상자가 배출될 곳으로 만들려면 이들의 이야기를 먼저 들어봐야겠네요.

Tag. 여성의날, 세계여성의날, 여성과학자, 여성, starlibrary

[Book] 과학하는 여자들

마침 한국 여성과총에서 이런 책이 나왔습니다. "과학하는 여자들" 한국 과학계의 대표적인 여성과학자 김빛내리 교수님을 비롯하여 포스텍의 최영수 교수님까지 다섯 분의 여성과학자의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입니다. 신성철 총장님께서 서평을 쓰셨어요. 


한국의 여성 과학자 어벤저스 5 이공계 여자들의 , 연구, 좌절 그리고 희망을 말하다!

한국인 중에서 가장 유력한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는 김빛내리 교수 책의 저자들은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들이다. 책은 5인의 여성 과학자가 각자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어린 시절 적성과 찾기, 공부하는 과정, 개인적인 고난과 극복, 연구 테마 찾기, 실험의 실패와 성공 일과 삶을 자전적으로 담아냈다. 그밖에 이야기 속에서 연구 주제를 자연스럽게 소개하는 한편, 장의 뒷면에 관련 지식 소개, 진로에 관한 조언도 추가했다


『과학하는 여자들』은 후배 여성 과학자들에게는 실제 삶과 일에 대한 지혜를, 남성을 포함한 일반 독자에게는 여성 과학자 또는유리천장을 깨나가는여성들을 이해하는 도움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여중고생이라면, 여기서 소개되는 여성 과학자를 모델 삼아 자신의 꿈을 키워나가는 계기를 마련할 있다.

Curator Comment

신성철 전 DGIST 총장님께서 서평도 써주셨네요. "이 책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여성 과학자 다섯 분의 독특한 이야기를 흥미진진하게 담아냈다. 어린 시절의 꿈, 과학자가 된 동기, 가정·육아와 일 사이에서의 고뇌, 뛰어난 과학자이자 리더로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생생하게 펼쳐져 있다. 여학생들에게는 미래 과학자의 꿈과 비전을 심어 주고, 후배 여성 과학자들에게는 일과 일상을 꾸려가는 지혜를 줄 것이다. 한편, 남성 독자들에게는 여성 과학자의 삶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저서이다." -신성철(DGIST 총장)

[facebook] Women who changed the world

노벨상 페북에 방문하시면 노벨상 수상한 여성들을 계속 소개하고 있습니다. 세상을 바꾼 여성들의 이야기를 동영상으로 확인해보세요. 

Women who changed the world. Literary mastery, pioneering science, life-saving discoveries and actions for peace and human rights – achievements of women around the world awarded the Nobel Prize. Learn more about the impactful work of these Laureates at Nobelprize.org. Photos: Ulla Montan, Alexander Mahmoud, Nobelprize.org. Music: Epidemic Sound. #InternationalWomensDay #WomensHistoryMonth

2017-03-08 14:00:00

[Person] ▶◀ Emerita Mildred Dresselhausdresselhaus - Google 검색

"탄소 과학의 여왕"이자 미국 대통령 훈장(2014) 및 국가 과학 훈장(1990)을 모두 수상하는 등 미국 과학계를 이끌었던 Mildred Dresselhaus가 지난 17년 2월 20일 86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최초"의  수식어들
MIT에서 1968년 최초로 영년직(tenured) 교원의 타이틀을 얻었고, 1985년 최초로 여성 'Institute Professor(연구, 교육, 봉사, 리더십 모두에서 뛰어난 업적이 있는 교수에게 주여지는 타이틀로 통상 12명을 넘지않음)'가 되었으며, 제2의 노벨상이라고도 불리는 카블리(Kavli Prize) 상에 최초 솔로 수상자(2012)였으며, 미국 국가과학상(National Medal of Science)의 최초의 여성 수상자이기도 합니다. 

연구분야
물리학, 재료과학, 전기공학 등 융복합 연구자입니다. 그는 반금속(semi-metals)의 전자구조에서 기본이 되는 발견을 하고, 플러린부터 나노물질, 양자구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를 했습니다. 흑연(graphite)의 다양한 측면을 연구하고 풀러린(fullerenes. buckyballs)에 관한 책(Science of Fullerenes and Carbon Nanotubes, 1996)을 비롯하여 8편의 저서와 1700편의 논문을 집필했습니다. 

여성과학(공학)자의 멘토
특히, 과학공학 분야에서 성평등을 장려하고 여성들이 더 넓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대한 노력을 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1971년 과학공학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을 탐색하기 위한 MIT의 첫 여성 포럼을 조직하고, 1973년 카네기 재단으로부터 여성의  STEM 분야 진출을 장려하기 위한 지원금도 받아냅니다. 이후에도 수년간 공학 새내기를 대상으로 여학생의 자신감을 기르기 위한 세미나를 조직하여 남녀 학생 모두에게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Kavli상 수상금으로 여성(또는 주니어) 연구자를 지원하기 위한 기금을 만들었습니다. 

[Video] What If Millie Dresselhaus, Female Scientist, Was Treated Like A Celebrity - GE

여성 과학자가 셀럽이 되면 어떨까? 라는 컨셉으로 만든 GE의 광고에 Millie Dresselhaus 박사가 주인공으로 등장합니다. 광소 속 소녀들이 Dresselhaus 박사의 인형을 가지고놀며, 박사를 상징하는 옷과 가발로 코스프레를 합니다. 부모들은 태어난 아이에게 Millie라는 이름을 짓습니다. GE에서는 2020년까지 20,000명의 STEM 분야 여성을 충원하여 모든 기술 프로그램에서 여성 비율을 50%까지 만들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능력이 있으면 입사하고 싶고, 돈이 있으면 GE에 투자하고 싶을 만큼 멋지네요!

General Electric

2017-02-08 22:59:54

[Report] Engineering The Future: GE’s Goal To Bridge The STEM Gender Gap By 2020 - GE Reports

GE today announced goals of having 20,000 women to fill STEM roles at GE by 2020 and obtaining 50:50 representation for all our technical entry-level programs. The program will significantly increase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its engineering, manufacturing, IT and product management roles ­- a strategy necessary to inject urgency into addressing ongoing gender …

여성 과학자의 현실을 엿볼 수 있는 GE의 백서 중. 
"US Today에 따르면  엔지니어의 14%, IT전문가의 25%만이 여성이다. 미국 통계청에 따르면 대학원생의 55%가 여성인데 반해 컴퓨터과학에서는 단 18%만이 여성이다. 

OECD에 따르면, 젠더의 갭을 줄이면 2030년까지 GDP를 10%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젠더의 다양성을 보장된 회사가 그렇지 않은 회사에 비해 53% 성과가 더 우수하다고 한다. MIT 경제학자들은 젠더시프트가 맬출을 41%까지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NEWS] 이공계 대학 여성인력 20%만 정규직 by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미국도 그런데 한국은 어떨까?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WISET 홈페이지를 들여다봤습니다. 

[Report] 2015년도 여성과학기술인력 현황 by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WISET)

간단한 서식과 활용목적을 입력하면 다운로드가 가능하네요. 

20 Big Questions about the Future of Humanity

과학에서 양성평등, 가능할까요?
We asked leading scientists to predict the future. Here’s what they had to say

19. Will gender equality be achieved in the sciences? 과학에서 양성 평등이 실현될까?
“Gender equality can be achieved, but we can’t just sit back and wait for it to happen. We need to ‘fix the numbers’ by recruiting more women into science and technology. We need to fix the institutions by implementing dual-career hiring, family-friendly policies, and new visions of what it means to be a leader. And, most importantly, we need to fix the knowledge by harnessing the creative power of gender analysis for discovery and innovation.” 양성평등은 실현될 수 있지만, 그냥 앉아서 기다릴 수는 없습니다. 과학기술에 더 많은 여성을 고용하여 '숫자를 고쳐야'합니다. 
—Londa Schiebinger, John L. Hinds Professor of History of Science at Stanford University

GE보고서에서도 언급되었지만 스탠포드의 론다 슈빙어 교수도 가만히 앉아있어서는 양성 평등이 저절로 실현되지 않는다며 더 많은 여성 고용으로 '숫자를 늘려야' 한다고 말합니다. 

[NEWS] 실패 때…男 다른 방식 재시도, 女 원인분석 먼저

"실패할 경우, 남성은 곧바로 다른 방식으로 재시도를. 여자는 실패원인을 분석하려한다."

"과학기술 젠더 혁신 개념을 처음 주장한 론다 슈빙어 스탠퍼드대 교수는 특히 ▲펀딩기관 ▲동료평가(Peer review) ▲대학 ▲산업 등 네 가지 분야에서 젠더의 특성을 반영한 정책이 큰 역할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여성과 남성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향이 있는 만큼 과학에서 양성평등은 과학기술 발전에도 정말 중요한 사안임에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연구하실 때, 공부하실 때 서로 다른 해결방식을 가진 동료들과 함께해보세요 :) 

[Blog] 남성과 여성은 얼마나 다른가 by SKEPTIC korea한국 스켑틱 공식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직업에서의 젠더의 불균형' 
여성은 과학, 수학, 공학같은 분야에서 남성보다 뒤떨어지기 때문에 관련 직업을 선택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있었다. 증거 자료를 통해 이 주장은 반박되었고, 그저 여성이 다른 분야를 더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직접 선호도는 분명 고정관념, 롤모델 그리고 문화에 의해 생겨나는 암묵적 연합에 의해 만들어진다. 

[facebook card contents]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하여 여성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이미지로 읽어보세요. ^^

2017-03-08 19:21:31

Curator Comment

DGIST 함께 만들어봐요!!! history가 아닌 herstory!

* 불법, 상업/광고, 욕설 등의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