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Keyword Issue] 크리스퍼(CRISPR)란 무엇인가?

Home-생물학[N]생물학[N]

curated by DGIST LIBRARY

최근 과학계에서 이슈되고 있는 키워드를 골라, 이해에 도움이 될 만한 다양한 리소스를 큐레이션합니다. 첫 번째로 유전자 가위 기술인 크리스퍼(CRISPR)에 대한 이해를 도와줄 저널 논문, 뉴스, 영상, 음성 등을 모았습니다. 크리스퍼가 남긴 이슈와 논쟁, 그리고 최근 'CRISPR-Cas9'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CRISPR-Cpf1'에 대한 국/영문리소스를 확인해보세요. 일부 DGIST 구독자원으로 DGIST 구성원만 보실 수 있습니다. 추천할 만한 다른 리소스가 있다면 댓글로 추천해주세요.

Curator Comment

[Radiolab Podcast Articles] Antibodies Part1: CRISPR

말과활 - 9호

DGIST 기초학부 남창훈 교수님의 크리스퍼와 관련한 글이 실렸습니다. 크리스퍼가 무엇인가에 대한 쉬운 이해와 생각해볼 만한 물음들, 기본적으로 읽어볼 만한 Reference들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초점] 과학 속의 실존 : 크리스퍼(CRISPR) 기법이 던지는 몇 가지 물음들 / 남창훈

'3세대 유전자 가위' 주목, 새로운 게놈편집 기법으로 떠올라

올초, 한국과 미국 연구팀 5곳 동시발표뒤 빠르게...

[바이오토픽] CRISPR, 뜨거운 감자? by BRIC

CRISPR의 부상과 의학/농업/생태에 미치는 영향 등이 한글로 알기쉽게 설명되어있습니다.

"강력한 유전자교정 기술 CRISPR는 PCR 이후로 생물학계의 판도를 바꿀 최고의 기법으로 등극했지만, 엄청난 가능성 때문에 되레 우환(憂患)거리로 전락할 위험에 처해 있다."

[바이오토픽] DIY 바이오해커들, 유전자편집 준비 갖춰 > BRIC

"전문적인 과학교육을 전혀 받아보지 못한 아마추어 바이오해커들도 CRISPR를 이용한 유전자 다시쓰기를 시도할 준비와 능력을 갖추고 있다."

Don’t edit the human germ line

Heritable human genetic modifications pose serious risks, and the therapeutic benefits are tenuous, warn Edward Lanphier, Fyodor Urnov and colleagues. Lanphier E., Urnov F., Haecker S.E., Werner M., Smolenski J. (2015 Mar 26). Don't edit the human germ line. Nature. 519, 410-1 More about PMID:25810189

A prudent path forward for genomic engineering and germline gene modification

Baltimore, David, et al. "A prudent path forward for genomic engineering and germline gene modification." Science 348.6230 (2015): 36-38.

[jove] Generation of Genomic Deletions in Mammalian Cell Lines via CRISPR/Cas9

CRISPR 2.0? | The Scientist Magazine®

CRISPR 2.0? A pioneer of the gene-editing technique discovers a protein that could improve its accuracy. By Jef Akst | September 28, 2015. Crystal structure of  ...

Alternative CRISPR system could improve genome editing

The CRISPR/Cas9 system evolved as a way for bacteria and archaea to defend themselves against invading viruses. It is found in a wide range of these organisms, and uses an enzyme called Cas9 to cut DNA at a site specified by 'guide' strands of RNA.

Nature.com

2015-09-26 01:01:09

Curator Comment

KISTI 글로벌 동향브리핑에서 CRISPR을 보다 간단하고 정확하게 만드는 방법, CRISPR/Cas9의 대안인 CRISPR/Cpf1에 대한 설명을 한글로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URL: http://mirian.kisti.re.kr/futuremonitor/view.jsp?record_no=258152&cont_cd=GT

The 2015 Thomson Reuters Citation Laureates

Thomson Reuters에서는 DGIST 구독 데이터베이스인 Web of Science의 인용 분석을 통해 매년 노벨상 수상자를 예측하고 있습니다. 지난 9월 25일 발표한 "THE 2015 THOMSON REUTERS CITATION LAUREATES"에 따르면 유전자 편집 기법인 "CRISPR-cas9"를 개발한 두 명의 여성과학자 Emmanuelle Charpentier, Jennifer A. Doudna 를 화학분야의 수상자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크리스퍼_유전자 가위, 축복인가 재앙인가

생명과학자들은 요즘, 유전자를 자르는 ‘가위’인 크리스퍼(CRISPR)가 혁명이라고 입을 모은다. “노벨상은 따 놓은 것”이라는 말도 들린다.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된 지 3년이 채 되지 않았는데 너무 섣부른 것은 아닐까. 느긋하기로 소문난 생명과학들이 이렇게 호언장담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시간을 거슬러 유전자 가위의 역사로부터 실마리를 찾아보자.
A CRISPR View of Bacterial Immune Systems http://ow.ly/SRta7 Check out this snapshot informing us on how #bacteria and #archaea evolved sophisticated adaptive immune systems that rely on #CRISPR loci and a diverse cassette of #Cas genes. Expand your knowledge on all areas of #biology by visiting our Cell Snapshot archive @ http://www.cell.com/snapshots

2015-10-01 05:27:08

* 불법, 상업/광고, 욕설 등의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